김민주⁄ 2022.02.11 11:41:34
지난 1월부터 방역·진단 체계가 변경되고,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폭등하면서 자가진단키트 품귀 현상이 빚어졌다. 자가진단키트 품절은 물론 가격이 뛰는 부작용까지 발생하고 있다.
오미크론으로 인한 코로나 19 확산세가 사그라들지 않자 정부는 지난 1월 방역 및 진단·검사 체계를 변경했다.
선별진료소 등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었던 기존 PCR(유전자증폭) 검사는 고위험군, 밀접 접촉자, 유증상자, 60세 이상 혹은 의료진에게 권고받은 사람을 우선으로 진행, 단순 의심자는 동네 병원에서 비용을 지불하고 신속항원검사를 받거나 자가진단키트로 직접 검사하는 것. 또는 선별진료소에서 무료 신속항원검사를 받는 방법이 있다.
신속항원검사키트는 개인이 직접 검사하는 자가진단키트와 의료인이 검체를 채취하는 전문가용 키트가 있다. 신속항원검사는 선별진료소나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 기관 즉 동네 병원에서도 받을 수 있는데, 이때 병원 방문 시 비용이 발생한다.
발열·호흡기 증상자, 의사진단 결과 코로나 19 의심 증상자 등에게는 건강보험 수가가 적용돼 비용이 5000원 가량으로 절감되지만 그 외의 경우에는 건당 약 55,000원의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약국,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자가진단 키트 수요가 급증했다. 곳곳의 판매처에서 자가진단 키트 입고되지마자 품절되는 상황이 반복되고 온라인에선 자가진단 키트에 웃돈을 얹어 되파는 불법 판매가 성행하고 있다. 당장 키트가 필요한 시민들은 과거 마스크 대란과 다를 바 없다고 우려했다.
이에 정부는 이달 13일부터 키트 온라인 판매를 금지하고, 약국과 편의점에서만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판매처를 제한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오늘(1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신속항원검사 키트(자가진단키트)를 충분히 안정적으로 공급할 것”이라며 “키트 최고 가격제 도입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달 21일부터 어린이집, 노인복지시설 등 이용자들에게 주당 1~1회분 자가검사키트를 무상 배포할 예정이다.
관련해 네티즌들은 “신속항원검사키트나 제대로 구비하고 각자도생하라고 했어야지”, “준비 없는 정책의 단면적인 결과...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사람들 욕먹지 않게 제발 윗선에서 제대로 하세요. 현실이 어떤지 겪어 보고 대책을 냈으면” ,“고위험군이 아니면 검사도 못 받고, 키트도 없는데 정부가 부추기는 꼴 아닌가? 만약 확진자라도 검사를 못 받으니 확진자라는 걸 알 수도 없다. 사회생활하다가 사람들과 부딪힐 텐데 오히려 확진자가 늘 수밖에 없는 상황” 등 비판적인 의견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