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용산· 청와대 부근 부동산 들썩인다!

“용산가족공원 조성 빨라져 부동산 가치 올라갈 것” , “청와대 인근 효자동, 청운동, 통의동, 삼청동... 경복궁 등 문화재 보존, 인왕산 등 자연 경관 보호 규제 완화될 지?”

  •  

cnbnews 안용호⁄ 2022.03.21 12:36:05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20일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을 직접 발표했다.

대통령 집무실을 청와대에서 용산 국방부 청사로 옮기고 5월 10일부터 새 용산 집무실에서 근무를 시작하겠다는 계획이다.

관련해 용산과 기존 청와대 부근 부동산의 향배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0일 한국경제 보도에 따르면 윤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옮긴다고 발표한 직후 용산 부동산 시장에서는 기대와 우려가 함께 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당장 용산가족공원, 국제업무지구 등의 개발이 속도를 낼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대통령 이동 등으로 인한 교통 혼잡이나 개발 제한 등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한 그동안 개발 제한이 있었던 기존 청와대 인근 효자동, 청운동, 통의동 등의 개발 기대로 증가하고 있다.

먼저 용산 이전에 기대를 거는 이들은 당선인이 “용산 지역은 이미 군사시설 보호를 전제로 개발이 진행돼 왔으며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하더라고 추가적인 규제는 없다”라고 밝힌 데에 안도하고 있다. 윤 당선인이 이날 “용산 대통렵 집무실 주변에 수십만 평 상당의 국민공원 공간을 조속히 조성해 임기 중 국민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하겠다”라고 말하면서 오히려 용산가족공원 조성 등이 빨라져 용산 지역의 부동산 가치가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가 증가했다.

용산공원은 2011년 기존 미군기지를 공원으로 추가 조성하는 종합기본계획이 수립됐지만 기지 반환 지연, 오염 정화 비용 등의 문제로 개발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이었다.

21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앞으로 용산의 고가 주택들이 더 주목받아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있는 연립주택인 라테라스한남은 지난달 15일 전용면적 244.22㎡가 100억원(3층)에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전국에서 연립주택 매매가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금액이다. 역대 최고 매매가 연립주택은 지난해 9월 185억원에 팔린 서울 서초구 트라움하우스5차 전용 273.64㎡다. 2012년 3층짜리 1개 동으로 한강 변에 지어진 라테라스한남은 준공된 해에 같은 면적·층(244.22㎡·3층)이 63억원에 매매된 바 있다. 한남동은 8년째 전국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를 보유한 동네다.

한남동과 함께 용산의 대표적인 부촌인 동부이촌동과 굵직한 용산개발 계획이 추진 중인 한강로동은 아파트값 시세를 견인하고 있다. 보광동, 후암동, 청파동, 서빙고동 등에서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며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작년 말부터 대출 규제가 강화되고 금리가 인상되면서 서울 아파트값의 상승세가 눈에 띄게 둔화했지만, 용산의 경우 단지별로 신고가를 경신하는 사례가 잇따랐다.

한강로2가 래미안용산더센트럴 아파트 전용 161.48㎡는 지난달 24일 39억원(23층)에 매매 되면서 종전 최고가였던 지난해 11월 37억원(32층)을 경신했다. 용산동5가 용산파크타워 전용 139.7㎡는 작년 8월 27일 27억원(19층)에 팔렸으나 지난달 17일에는 28억5천만원(12층)으로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반면 교통 체증 및 집회·시위로 용산 부동산 시장의 악재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공존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에 위치한 한 식당에서 점심 식사를 마친 후 안철수 인수위원장, 권영세 인수위 부위원장, 원희룡 기획위원장 등과 함께 산책하고 있다. 통의동은 청와대 인근 지역으로 각종 규제를 받고 있는 동네 중 하나이다. 사진=연합뉴스

한편 효자동, 청운동, 통의동, 삼청동 등 기존 집무실이 있던 청와대 인근도 규제 완화로 인해 재개발·재건축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 지역에선 최고 높이 15~20m를 초과하는 건물을 지을 수 없어, 3~4층 낮은 건물과 다세대·다가구 주택 등이 밀집되어 있다. 청와대 인근의 경우에는 야간에 주민 외 출입이 제한되는 곳까지 있다.

하지만 대통령 집무실이 이전되어도 이들 지역의 각종 제한이 완전히 풀릴지는 의문이다. 청와대 외에도 경복궁 등 문화재 보존과 인왕산 등 자연경관 보호 등을 위한 규제 지역이 있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관련태그
청와대 이전  청와대 국민청원  청와대 이전 이유  용산 국방부  용산 아이파크콜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