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메리츠증권, 미국채 30년 스트립 채권 투자 ETN 3종 상장

긴 듀레이션 특징, 금리 하락기 일반채권 대비 큰 수익 기대

  •  

cnbnews 김예은⁄ 2025.02.27 15:12:31

메리츠증권은 미국채 30년 스트립 채권에 투자하는 환헤지형 ETN(상장지수증권) 3개 종목을 한국거래소에 상장한다고 27일 밝혔다. 사진=메리츠증권

메리츠증권은 미국채 30년 스트립 채권에 투자하는 환헤지형 ETN(상장지수증권) 3개 종목을 한국거래소에 상장한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출시된 종목은 ▲메리츠 미국채30년 스트립 ETN(H) ▲메리츠 레버리지 미국채30년 스트립 ETN(H) ▲메리츠 인버스2X 미국채30년 ETN(H)으로, KIS 미국채 30Y 스트립 총수익(TR) 지수를 추종한다.

해당 상품은 미국 스트립 채권을 편입해 듀레이션(가중평균만기)을 대폭 확대한 것이 특징이다. 스트립 채권은 원금과 이자를 분리하여 만기가 긴 원금에만 투자해 듀레이션을 늘리는 전략을 활용한다.

 

이에 메리츠 미국채30년 스트립 ETN(H)의 듀레이션은 약 28년으로, 일반 미국채 30년물(16년)보다 약 1.75배 길다. 레버리지 상품인 메리츠 레버리지 미국채30년 스트립 ETN(H)은 듀레이션이 약 56년으로, 이는 메리츠증권이 지난해 출시한 메리츠 3X 레버리지 미국채 30년 ETN(48년)보다 8년가량 긴 수준이다.

이러한 긴 듀레이션 특성으로 인해 금리 하락 시 일반 채권보다 더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으며, 환헤지가 적용돼 환율 변동성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회사 관계자는 밝혔다.

메리츠증권은 현재 67종의 ETN을 운용하고 있다. 특히 67종 중 39종이 채권형 상품으로 구성돼 있다. 2024년에는 국내 ETP(상장지수상품) 시장 최초로 미국채 3배 레버리지 ETN 시리즈를 출시했으며, 고객들의 높은 관심으로 지난해 12월 추가 상장을 진행하기도 했다.

메리츠증권 트레이딩본부장 권동찬 전무는 “연준 및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와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환율 예측이 어려운 상황에서, 이번 상품은 미국채의 이자수익과 자본차익에 집중하고 싶은 투자자들에게 적합하다”며 “기존 라인업과 마찬가지로, 인버스2X 종목을 통해 금리 상승 위험을 헤지할 수 있는 투자 수단도 함께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번 신규 상장 종목에 대한 상세 정보는 메리츠증권 ETN 전용 홈페이지와 KIS자산평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태그
메리츠증권  채권  미국  환율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