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는 24일 고객이 일상 언어로 말하듯 요청하면 송금이 가능한 ‘AI 이체’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핵심 금융 기능인 이체 서비스에 생성형 AI를 직접 적용한 것은 국내 금융권 최초로, 기존처럼 은행명·계좌번호·금액을 단계별로 입력해야 했던 절차를 한 문장으로 단축해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구현했다.
AI 이체는 최근 송금 이력이 있는 상대에게는 이름만으로도, 별명을 설정한 경우 ‘엄마’나 ‘마미’처럼 의미가 비슷한 표현만으로도 송금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기존 방식처럼 목록을 찾아 직접 선택할 필요가 없어 ‘자주 송금하는 계좌’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다.
서비스 실행 전에는 주요 정보 확인과 인증 절차를 거쳐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했으며, 카카오뱅크 입출금계좌 보유 고객이라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이체 한도는 1회와 1일 기준 각각 200만원이며, 카카오뱅크 앱의 ‘AI 이체’ 메뉴 또는 애플 인텔리전스를 통한 음성 명령으로도 접근할 수 있다.
카카오뱅크는 서비스 출시 전 다수의 취약점 검증을 마친 데 이어 금융보안원과 모의해킹 기반 ‘AI 서비스모델 보안 점검’을 합동으로 수행해 보안성을 끌어올렸다. 고객 요청이 불명확한 경우 재질문 과정을 거치도록 설계하는 등 착오송금 방지 절차도 강화했다.
출시를 기념한 이벤트도 진행된다. 다음달 17일까지 ‘AI 이체’ 페이지에서 ‘공유하기’ 기능을 통해 카카오톡 친구에게 링크를 보내면 추첨을 통해 5천명에게 ‘비타500’ 쿠폰을 지급한다.
카카오뱅크는 올해 5월 ‘AI 검색’을 시작으로 대화형 AI 서비스를 확장하며 약 170만 명의 고객이 이용하는 AI 금융 파트너로 자리 잡았다. 안내나 서류 확인에 머물렀던 기존 금융권의 AI 적용 방식에서 나아가 본질적인 금융 기능에 AI 활용을 넓히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카카오뱅크는 오는 12월 계좌 모임 기능에 AI를 접목한 ‘AI 모임총무’를 공개할 예정이다. 회비 정리 등 총무 역할을 자동화하는 기능으로, 이후 다른 금융 상품으로도 AI 적용 영역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은행명이나 계좌번호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대화만으로 송금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설계했다”며, “앞으로도 AI 기술 혁신을 통해 차별화된 금융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문화경제 김예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