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동대문구, 도서관 상호대차 서비스 작은도서관 포함 확대 시행

오는 23일부터 동주민센터 작은도서관 8개관 포함 25개관 연계 운영

  •  

cnbnews 안용호⁄ 2025.09.19 19:56:45

안평초등학교 행복독서 책 읽어주기 활동에 참석한 이필형 동대문구청장. 사진=동대문구청

서울 동대문구(구청장 이필형)는 오는 23일부터 상호대차 서비스 대상을 기존 구립도서관 17개관에서 동주민센터 내 작은도서관 8개관까지 확대해 총 25개관에서 운영한다고 밝혔다.

상호대차 서비스는 원하는 도서가 이용 중이거나 소장되지 않은 경우, 협력 도서관에서 자료를 신청해 가까운 도서관에서 수령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주민들은 직접 도서관을 방문하지 않고도 동대문구 구립도서관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된 자료는 도서관 간 연계망을 통해 지정 도서관으로 이송된다. 이번 확대 대상은 ▲전농2 ▲답십리1·2 ▲장안1 ▲휘경1·2 ▲이문1·2 주민센터 내 작은도서관이다.

동대문구는 2012년부터 구립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상호대차 서비스를 운영해 왔으며, 주민들로부터 “자료 접근성이 높아졌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서비스 범위가 일부 구립도서관에 국한돼 생활권 가까운 작은도서관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구는 주민 수요와 도서관 간 협력 필요성을 고려해 이번 확대를 추진하게 됐다.

이번 조치로 주민들은 총 25개관에서 소장한 자료를 자유롭게 검색·신청·대출할 수 있으며, 특히 소장 도서 수가 제한적이던 작은도서관에서도 원하는 책을 바로 받아볼 수 있게 됐다.

대출 기간은 기존 규정과 동일하게 적용되며, 연장 가능 여부와 이용 제한 도서는 각 소장 도서관의 규정을 따른다. 다만 파손 우려가 있는 일부 자료는 상호대차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구는 확대 시행에 앞서 도서관 간 자료 이송 체계를 점검하고, 주민센터 작은도서관 근무자를 대상으로 운영 지침 및 신청 방법 교육을 실시해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준비를 마쳤다.

이필형 동대문구청장 “이번 상호대차 서비스 확대는 도서관 간 협력을 강화해 주민 누구나 생활권 내에서 원하는 책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도서관 네트워크를 촘촘히 연결해 독서 생활을 지원하고, 구민 모두가 책으로 소통하는 문화도시 동대문구를 만들어가겠다.”라고 말했다.

<문화경제 안용호 기자>

관련태그
동대문구  이필형  상호대차 서비스  작은도서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많이 읽은 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