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블랙리스트 시대, 예술가의 역할은 무엇인가?
4일 몰아친 추위에도 광화문 광장은 뜨거웠다. 288개의 문화예술 단체, 7449명의 예술가들이 '문화예술인 시국선언'에 서명하며 동참의 의미를 밝혔다. 더 이상 두고 보지 않고, 문화예술의 미래를 위해 스스로 나서겠다는 발걸음이다.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주철환)은 문화예술계 현안을 되짚고 더…
대표이미지
예술-과학-기술 공유의 장, ‘안양 퍼블릭 랩’
안양문화예술재단(이사장 이필운 안양시장)은 5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APAP 5)의 일환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공공예술 워크숍 ‘안양 퍼블릭 랩(APL, Anyang Public Lab)’을 11월 9~19일 연다. 안양 퍼블릭 랩(APL)은 APAP 5 참여작가인 미디어아트 연구단체 ‘하우스 오브 내…
대표이미지
차은택 후임 박명성 문화창조융합본부장, 취임 5개월만에 사표
(CNB저널 = 김금영 기자) 박명성 창조경제추진단장 겸 문화창조융합본부장이 사퇴한 가운데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7일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CNB와의 통화에서 “박 본부장이 사의를 표명했고, 사표를 수리한 것이 맞다”고 밝혔다. 문체부 관계자는 “최근 박…
대표이미지
훼손된 사진 통해 만나는 환영의 주름… 정정호의 ‘아키타입 7017’
갤러리 정미소는 2016 신진작가 공모의 사진 분야에 선정된 사진작가 정정호의 개인전 ‘아키타입 7017(Architype 7017)’을 11월 3~23일 연다. 올해 정미소의 신진작가 공모전은 먼저 주제를 공지하고 미디어아트 분야로 특화시키며, 기존과 다른 형식으로 진행됐다. 올해의 주제는 ‘리턴 투…
대표이미지
[신동원 상하이 경제칼럼] ‘큰시장 중국’에서 보는 최순실 게이트와…
(CNB저널 = 신동원 네오위즈 차이나 지사장) 청년들의 실망이 큽니다. 대학마다 시국선언이 나오고 대통령의 하야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해외동포들은 매우 창피한 상황이기도 하고요. 고국을 등지고 이민 가는 청년들에 대한 기사를 보고 있자니, 최근의 최순실 게이트와 오버랩되면서, 대한민국의…
대표이미지
[고윤기 변호사의 법률이야기] 대박 가게 따라하기? 꼼꼼한 법률 못 피…
(CNB저널 = 고윤기 로펌고우 변호사/서울지방변호사회 사업이사) 날씨가 추워지고 달달한 호빵이 편의점에 등장했습니다. 겨울에는 군고구마도 좋지만 호빵을 호호 불어가며 먹는 재미도 좋습니다. 최근에 지하철역에는 여러 가지 먹거리가 등장했습니다. 그중 하나가 단팥빵인데요, 아침에 출근하…
대표이미지
[김현주의 나홀로 세계여행 - 칠레 산티아고] 깨볶고 약장수 약파는 이…
(CNB저널 = 김현주 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20일차 (푼타 아레나스 → 산티아고)안녕 파타고니아새벽 5시 25분 출발 산티아고행 란 항공기를 놓칠세라 자는 둥 마는 둥 밤을 보내고 택시를 타고 공항으로 향한다. 공항에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탑승수속 중이다. 멀리 마젤란 해협의 검푸른 바다…
대표이미지
[김재화 골프 세상만사] 국정농단과 골프농단
(CNB저널 = 김재화 한국골프칼럼니스트협회 이사장) 농단(弄壇)이면 얼마나 좋을까만 壟斷(농단)이란다. 그리고 그 앞에 국정(國政)이 붙는다. 농단(弄壇)은 ‘농담을 하는 무대’이니 유쾌한 개그 스테이지쯤 되지만, 壟斷(농단)은 권력을 독점하며 온갖 비리를 다 저지르는 것인데, 우리나라에 ‘…
대표이미지
[다원예술 시리즈 ① - 스튜디오 곰] 가구로 시대와 소비주의 뛰어넘는…
오늘날의 예술은 미술, 음악, 디자인, 공연 등 각 분야의 역사성이 가진 관례를 뛰어넘어 표현 형식과 방법의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미술과 공연예술을 주로 소개하고 있는 ‘다아트’는 이런 예술가들의 다양한 도전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철학을 얻길 바라는 마…
대표이미지
친환경 공유도시를 위한 국제 해카톤 'P.O.S.T. HACKTHON 2016'
우리가 상상하는 미래 공유 도시는 어떤 모습일까? 아트센터 나비는 기술적 상상력을 통해 개인과 공유 도시의 변화를 이끌어갈 다분야의 크리에이터들과 친환경 공유 도시를 위한 ‘P.O.S.T.(Prototyping Of Sharing Eco City with Technology) 해카톤 2016’의 결과물을 11월…
대표이미지
시민이 발견한 공공미술 이야기… ‘시민이 찾은 길 위의 예술!’
일상 속에서 살아 숨 쉬는 공공미술을 시민들이 향유할 수 있도록 서울시가 추진한 ‘시민이 찾은 길 위의 예술!’ 프로젝트가 두 달간의 대장정을 마친 후, 그 성과 발표회를 개최한다. 이번 성과 발표회는 공공미술이 시민들과 소통하면서 새롭게 인식되는 과정을 함께 보고 들으며, 공공미술을 따라…
대표이미지
'예술 해커톤: 로봇과 드론', 예술과 로봇공학 융복합의 장
세계 59개국의 30만 명이 함께 즉흥 네트워크 연주에 참여했던 전병삼 작가의 로봇음악 연주 프로젝트 ‘텔레매틱 드럼 서클(Telematic Drum Circle)’은 로봇과 뉴미디어의 결합이 새로운 예술 콘텐츠로 승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 꼽힌다.일본에서 개발된 30cm 크기의 눈사…
대표이미지
밀레의 '이삭 줍기'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프랑스 오르세미술관이 한국에 찾아왔다.예술의전당과 ㈜지엔씨미디어가 오르세미술관과 함께 '프랑스 국립 오르세미술관전 – 이삭줍기(밀레의 꿈, 고흐의 열정)'를 선보이는 중이다.이번 전시는 한불수교 130주년과 더불어 '한불상호교류의 해'를 기념한 자리다. 또한 오르세미술관 개관 30주년을…
대표이미지
[리뷰] 관객참여형 축제 ‘뮤지엄 페스티벌: 마당’
최근 국립현대미술관은 서울관을 다원예술과 관객 참여형 예술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하는 시도를 계속하고 있다. 이미 서울관의 건축 설계 단계부터 관객이 모이고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장해 지었다고 알려진 바 있다. 이에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서울관의 특성을 전시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지난…
대표이미지
[인터뷰] 40년 해외활약 바이올리니스트 이승일이 켜는 '토종음악과…
(CNB저널 = 김금영 기자) 의사인 아버지와 어머니가 있었다. 이들에게는 아들이 있었는데 아들이 5살이 되자 TV에서 누가 바이올린 켜는 모습을 보고 호기심 어린 두 눈을 밝히며 “나 저거 하고 싶다”고 했다. 클래식을 좋아한 아버지는 바로 아들의 손을 잡고 바이올린을 사러 갔다. 그리고 아들은…


CNB 저널 FACEBOOK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