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칼럼
·
[홍성재 탈모 칼럼] 탈모 검사가 꼭 필요한 경우 (탈모검사 가이드)
(문화경제 = 홍성재 의학박사) 탈모인들을 진료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탈모 원인을 찾는 것이다. 왜냐하면 원인에 맞게 약물을 선택하고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기 때문이다.탈모의 원인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DHT호르몬이 원인이 되는 안드로겐형 탈모 △내분비 질환, 영양 결…
[이문정 평론가의 더 갤러리 (46) 정서영 작가] “조각은 설명없이 나…
(문화경제 = 이문정 미술평론가, 연구소 리포에틱 대표) 필자에게 정서영의 작업은 미궁과 같다. 작품들이 던지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의 종착지가 쉽게 보이지 않아서이고, 그 과정에서 생성되는 생각의 실타래가 쉽게 정리되지 않아서이다. 물론 모든 작품은 다양하게 감상되고 해석될 수 있다…
[기자수첩] 과거 움츠러들었던 히키코모리와 현재 혼밥을 즐기는 주인…
5년 전 방문했던 같은 공연장에서 혼자의 삶을 다루는 연극이 펼쳐졌다. 그런데 비슷한 듯 달랐다. 5년 전의 공연은 타인과의 관계를 거부하고 혼자의 삶을 사는 히키코모리(은둔형 외톨이), 그리고 이번에 마주한 공연은 타인과의 관계 속 살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매번 혼자 꾸역꾸역 밥을 먹는 주인…
[기자수첩] 멈춤이 힘 될 때까지 … 기업들의 ‘랜선 공연’ 지원
좋다가 말았다. 지난달만 해도 전염병 감소 추세여서, 앞으로 공연전시 보러 갈 수 있겠거니 했다. 그런데 좌석을 띄워 앉고, 철저히 공연장 방역을 마쳐도 전염병 창궐을 막기에는 속수무책인가보다. 조심스럽게 재개되던 공연장들이 다시 문을 걸어 잠그고 있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데스크 칼럼] “언택트, 이게 되네!”가 놀랍고 무서운 이유
(문화경제 = 최영태 편집국장) 이른바 언택트 시대를 맞아 놀라운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다. 예컨대 5월 20일 SK텔레콤이 실시한 언택트 유튜브 기자간담회(15쪽에 기사)가 그렇다. 여태껏 기자간담회라면 한 장소에 기자들을 모아놓고 현장에서 설명하고 질의응답을 받고, 모인 김에 추가로 다과나…
[고윤기 법 칼럼] 자식에 재산을 물려주지 않는 법(유언신탁 이야기)
(문화경제 = 고윤기 로펌고우 변호사) 내가 생애 마지막으로 할 수 있는 행위는 아마도 상속일 것이다. 그리고 나에게는 손이 더 가는 자식, 더 물려주고 싶은 자식이 있을 수도 있다. 솔직히 내가 모은 재산 내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닌가?그런데 우리 상속법에는 유류분이라는 브레이…
[특별 기고] 대우조선해양 대형 부실의 진짜 이유와 재발 방지책 (1)
지난 정권에서 천문학적인 지원(즉, 국민의 세금)이 주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정상화되지 못한 정경유착의 대표적 사례로 꼽히는 게 대우조선해양 사태다. 조 단위의 분식회계 등이 적발되면서 과거 경영진 일부가 실형을 살고 있어 국민 일반은 방만 경영을 부실의 주된 원인으로 알고 있지만, 그…
[겸재 그림 길 (55) 송파진 ②] 청황제 칭송글 쓴 이경석과 이를 비꼰…
(문화경제 = 이한성 옛길 답사가) 지난 호에 소개했듯이 겸재의 송파진(松坡津: 송파나루)도(圖)는 석촌호수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송파대로 북쪽 롯데 쪽에서 석촌호수 건너 송파대로 남쪽을 향해 그린 그림이다. 지금은 석촌호수 남북단을 송파대로가 지나지만 그때는 송파강을 잇는 나루였음은 이…
[이문정 평론가의 더 갤러리 (45) 최선 작가] “‘이런 건 나도 하겠다…
(문화경제 = 이문정 미술평론가, 연구소 리포에틱 대표) 작가 최선은 미술의 의미와 역할, 그 안팎에 존재하는 위계질서를 고민한다. 또한 작품에 미술과 사회의 관계를 예리하게 담아낸다. 이를 위해 예술의 권위에 질문을 던지고, 하찮게 여겨지던 대상들을 전면에 내세워 가치를 뒤집는 작업을 선보인…
[기자수첩] 비대면은 곧 노동의 종말?
코로나19 이후 카드업계 취재를 하면서 미국 경제학자 제러미 리프킨이 쓴 노동의 종말이 떠올랐다. 책 노동의 종말은 기술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말하고자, 기존에 진행됐던 산업혁명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농민이었던 흑인 노동자들은 목화 따는 기계의 발명으로 일자리를 잃었고, 그 후엔 컨베…
[기자수첩] 게임에 ‘문화·예술’을 허해야 하는 이유
정부가 지난 7일 게임산업 진흥 종합 계획을 발표한 이후 게임업계 관계자들과 대화를 하면서 가장 많이 나왔던 이야기는 주로 확률형 아이템 문제나 수출 지원 관련 문제 등에 대한 것이었다. 하지만 본 기자에게 있어 관심이 있었던 부분은 바로 게임의 문화예술 인정 여부였다.게임은 우리나라에서 문…
[기자수첩] '코로나 수혜주' OTT, 별도 과금·광고 등 꼼수 없어져야
IPTV 약정이 끝났다. 이번 기회에 이별을 시도해보려 한다. 이유는 여러 가지다.먼저, TV 시청 빈도가 스마트폰보다 적어지고 있다. 매달 자동이체되는 비싼 월 요금에 비해 안보는 채널이 너무 많다. 그리고 TV 프로그램 다시보기나 영화 등 VOD를 볼 때 별도의 추가 요금을 내야 하거나, 해당 요금…
[데스크 칼럼] ‘유튜브 세상’에서 책 펼치는 기업들
(문화경제 = 최영태 편집국장) 지금은 분명 책을 안 읽어도 되는 시대다. 지난 20세기까지가 글이 권력인 세상이었다면 현재는 말과 비디오의 세상이기 때문이다.한 저자의 저서 대여섯 권을 최소한 훑어는 봐야 그 저자의 생각-주장을 정확히 알 수 있는 게 지난 세기였다. 그러나 현재의 유튜브 세상에…
[홍성재 탈모 칼럼] 바르는 탈모약과 사불범정(邪不犯正)
(문화경제 = 홍성재 의학박사) 사불범정(邪不犯正). 사악한 것이 바른 것을 범하지 못 한다는 뜻으로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고, 거짓은 진실을 이길 수 없다는 말이다.요즈음은 거짓말이 진실을 이기는 세상이 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가짜 뉴스가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는 것은 물론이…
[겸재 그림 길 (54) 송파진] 잠실이 강북땅 → 섬 → 강남땅 된 사연
(문화경제 = 이한성 옛길 답사가) 겸재의 경교명승첩을 따라 한강을 오른 지도 여러 날 되었다. 오늘은 송파진(松坡津)이다. 겸재의 그림을 보면 송파진이 특별히 소나무 언덕(松坡)이 있는 나루(津)는 아니다. 이 지역은 전부터 광주목 중대면 송파리(中臺面 松坡里)였는데 남한산성으로 이어지는 언덕…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