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추가
로그인
회원가입
기사제보
최종편집 :
경제-정치
문화-미술
칼럼
다아트
전국/사회
전체기사
자치구&기관
Home
>
뉴스섹션
>
칼럼
·
[데스크 칼럼] 냉장고로 보는 경제사 … 다시 ‘모두의 냉장고’ 시대…
(문화경제 = 최영태 이사) 이번 호에 실린 돌아다니는 냉장고가 신선식품을 30분 안 배달(38~39쪽) 기사는 아주 흥미롭습니다. 택배 경쟁이 심화되다보니 결국 냉장고 트럭이 거리를 배회하다가 주문이 들어오면 30분 안에 가져다 준다는 현대백화점의 구상과, 이를 뒷받침하는 현대자동차의 냉장고…
[겸재 그림 길 (82) 삼부연] 삼부연 폭포 위 신선계와 세 물가마
(문화경제 = 이한성 옛길 답사가) 이번 해악전신첩(海嶽傳神帖)으로 찾아가는 겸재의 그림은 삼부연(三釜淵)이다. 현재의 지번으로 보면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에 있는 폭포를 그린 그림인데, 겸재 시절이나 지금이나 일반적으로 삼부연이라 부르지만 옛 글들에는 삼부폭(三釜瀑) 또는 삼부락(三釜…
[더 갤러리 (73) 이진주 작가] “내가 보고 싶어 그렸는데 관객이 보아…
(문화경제 = 이문정 미술평론가, 연구소 리포에틱 대표)- 본인이 직접 소개하는 이진주는 어떤 작가인가?굉장히 사실적이고 섬세하지만 뭔가 낯설고 이상한 삶의 풍경, 인물, 대상을 그리는 한국 동시대 미술 작가이다. 현상적으로 출현한 현실이 아니라 눈앞에 보이는 본질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나…
[겸재 그림 길 (81) 화적연] 한탄강의 원뜻을 알면 한탄스럽지 않을텐…
(문화경제 = 이한성 옛길 답사가) 겸재의 그림 따라 가는 길은 임진강 수계를 벗어나 한탄강(漢灘江)으로 넘어 간다. 한탄강은 이제는 북녘 땅이 된 강원도 북쪽 끝 평강(平康)에서 발원하여 김화(金化), 철원(鐵原), 옛 영평(永平: 포천 북부), 연천을 지나면서 전곡 은대리성 앞에서 차탄천(車灘川)을…
[홍성재 탈모 칼럼] 탈모 약 복용 탓 발기부전의 의학적 근거는?
(문화경제 = 홍성재 의학박사) 앞머리와 정수리가 점점 얇아지는 안드로겐형 탈모에는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 성분인 프로페시아가 가장 효과적이다. 하지만 부작용 중 하나인 성기능저하에 부담을 느낀 일부 남성들은 복용을 꺼려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물론 성기능저하 부…
[이문정 평론가의 더 갤러리 (72) 이정윤 작가] “이렇게 보여줘야 한…
(문화경제 = 이문정 미술평론가, 연구소 리포에틱 대표)- 전시 제목이 Green_사라지는 노래, 살아지는 노래이다. 특별히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있는 것 같다. 전시 주제와 관련된 설명을 부탁한다.초록이라는 특정한 색을 칭하는 단어를 제시하면서 가장 먼저 떠오른 생각은 우리가 만약 초록이란…
[데스크 칼럼] 나는, 우리 회사는, 한국은 어떻게 브랜딩 할 것인가
(문화경제 = 최영태 이사) 이번 주 문화경제에는 브랜드, 브랜딩에 대한 기사가 많이 실렸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가상인물 모델 오로지를 기용해 신생 브랜드를 알리는 데 톡톡히 성과를 올리고 있는 신한라이프 관련 기사(36~37쪽)다. 전철 안에서 춤을 추는, 몸매는 여성스럽지만 얼굴 표정은 강렬…
[데스크 칼럼] 겸재 따라 밟는 임진강 ‘찢기지 않은 길’의 소중함
(문화경제 = 최영태 편집국장) 이한성 옛길 답사가의 겸재 그림 글 시리즈가 이번 호로 80회를 맞았습니다. 그리고 75회부터 시작된 임진강변 답사 편이 이번 호로 마무리됩니다.경기도 파주에 율곡수목원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계곡을 둘러싼 양쪽 산허리에 온갖 나무를 모아 수목원을 조성한 곳인데…
[겸재 그림 길 (80) 연강임술첩 ④] 임진강변에서 듣는 ‘겨레를 가르…
(문화경제 = 이한성 옛길 답사가) 얼마 전 연천군에서는 옛 연강을 연상케 하는 걷기길 연강나룻길을 개설하였다. 북한 측의 불시 임진강물 방류로 인명과 농경지가 피해를 입은 후 대비해서 쌓은 군남댐에서 시작하여 삼곶리(三串里)까지 이어지는 트레킹 코스다.아 드디어 웅연나루(熊淵)에서 임진강…
[이문정 평론가의 더 갤러리 (71) 최정은 작가] 뇌를 없애버리는 멍게…
(문화경제 = 이문정 미술평론가, 연구소 리포에틱 대표)- An Abiotic Organism(2016), 선의 샤워(2020)를 비롯해 상체와 무릎의 굴곡 시리즈(2020)까지 꽤 많은 작업의 주조색이 빨강이다.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 입주작가 결과보고전 최정은_멍게신 후손의 부흥회(2021)에서는 무교(巫敎…
[데스크 칼럼] 한국 法·言, 차별금지-공정-수입대체 다 안 되면…“…
(문화경제 = 최영태 편집국장) 30대 야당 당대표가 탄생하면서, 그리고 전직 검찰총장이 차기 대선 지지율 1등을 달리면서 공정이 화두가 되고 있다.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떠오른다. 공정하기만 하면 한국인은 모두 행복해질까 하는 질문이다. 트레이더(금융 상품을 거래하며 이익을 내는 전문가) 김동…
[겸재 그림 길 (79) 연강임술첩 ③] 미수 선생이 사랑한 연천의 ‘돌글…
(문화경제 = 이한성 옛길 답사가) 1742년(영조 18년) 10월 보름 밤 경기도관찰사 홍경보, 양천 현령 정선, 연천현감 신유한은 삭녕(朔寧)땅 우화정(羽化亭)에서 배를 띄워 연강(漣江)을 따라 내려오기 시작하였다. 이때 출발지 우화정에서 배를 띄워 출발하는 모습을 겸재는 우화등선(羽化登船)이라는…
[이문정 평론가의 더 갤러리 (70) 최수정 작가] “관객 향해 얼굴 내미…
(문화경제 = 이문정 미술평론가, 연구소 리포에틱 대표) 2021 명륜동 작업실(캔 파운데이션) 입주 작가인 최수정은 작업 초기부터 현재까지 회화를 중심에 놓은 형식 실험을 지속하고 있다. 미묘하게 회화의 영역을 넘어서는 듯한 작업은 역으로 회화의 고유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작품과 공간, 관객 사…
[홍성재 탈모 칼럼] 수면장애 탓 휴지기탈모에는 멜라토닌이 효과적
(문화경제 = 홍성재 의학박사) 멜라토닌(melatonin)은 뇌의 송과선(pineal gland)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인체의 바이오리듬, 스트레스, 생식을 포함해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관여한다. 하지만 가장 큰 기능은 야간의 수면 촉진과 강력한 항산화제(anti-oxidant) 작용이다.멜라토…
[데스크 칼럼] 착한(義) 가게가 좋나, 돈 잘버는(利) 가게가 좋나
(문화경제 = 최영태 편집국장) 세상이 온통 돈으로 난리다. 초저금리 시대에 돈을 더 벌기 위해 부동산으로, 주식으로 돈이 뛰어다니더니, 이제는 주식 시장 만큼의 돈이 가상화폐로 쏟아져 들어갔다고 한다. 너나없이 한 푼이라도 더 벌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세상이다. 이번 호 문화경제가 실은 플랫폼…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