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이미지
[겸재 그림 길 (94) 내연삼용추] 포항 내연산 12폭포를 마음으로 그려…
(문화경제 = 이한성 옛길 답사가) 관동팔경을 끝맺고 그림 길은 동해안 7번 국도를 따라 남으로 내려간다. 이제는 우리에게 낯선 땅, 옛 청하현(淸河縣) 지역이다. 지금은 포항시 청하면이 되었다. 겸재는 이곳 청하현에서 1733년(영조 9년) 6월부터 어머님이 돌아가신 1735년(영조 11년) 5월 사직할…
대표이미지
[홍성재 탈모 칼럼] [미래의 탈모 치료 ④] 윈트(Wnt) 신호전달경로…
(문화경제 = 홍성재 의학박사) 살아있는 모든 생명체는 각각 독립생활을 하는 세포들끼리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생존한다. 세포가 손상되거나 기능이 저하될 경우 세포분열을 촉진하는 신호를 주고, 세포분열이 너무 많은 경우는 억제하는 신호를 줘서 생명현상을 이어간다. 소통을 멈추는 세포는…
대표이미지
[이문정 평론가의 더 갤러리 (84) 고사리 개인전 ‘드는봄’] 전시장…
(문화경제 = 이문정 미술평론가, 연구소 리포에틱 대표) 더 갤러리 이번 회는 직접 농사를 지으며 경험한 자연의 원리를 작품에 담아낸 고사리 작가와의 인터뷰를 싣는다. 씨알콜렉티브(CR Collective)에서 열린 작가의 개인전 드는봄에서는 작은 씨앗에서 시작해 열매를 맺고 다시 흙으로 돌아가는…
대표이미지
[데스크 칼럼] 생각 ·적용 ·실천하는 이에게 책이 보여주는 미래
이이가 제왕의 학(學)을 위해 선조에게 지어 바쳤다는 성학집요는 책을 읽는 자세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습니다.몸을 가다듬고, 자리를 잡는다. 시선을 차분히 두고, 작게 읊조린다. 마음을 비우고, 넉넉히 유영한다. 이때 자신과의 연관을 놓치지 않고 성찰한다. 한 구절을 읽으면 이것을 어떻게…
대표이미지
[데스크 칼럼] DAO로 일하는 세상 오면 20세기人들은 어쩌라고?
(문화경제 = 최영태 이사) 간송미술문화재단의 국보급 문화재(금동불상과 불감) 두 점이 경매 물품으로 나오자 블록체인기업 아톰릭스랩이 DAO 형태로 돈을 모아 입찰하고, 소유권을 확보하면 금동불상 등의 디지털 이미지를 NFT로 만들어 판매하겠다는 아이디어를 내놓고 추진 중이라 화제다. 첨…
대표이미지
[겸재 그림 길 (93) 월송정] 월송정에 어른거리는 왜구의 칼날
(문화경제 = 이한성 옛길 답사가) 오늘 울진(蔚珍) 월송정(越松亭)을 끝으로 그동안 찾아 왔던 관동팔경 길과 겸재의 관동명승첩 길은 끝을 맺는다. 관동팔경은 고성의 청간정(淸澗亭), 강릉의 경포대(鏡浦臺), 고성의 삼일포(三日浦), 삼척의 죽서루(竹西樓), 양양의 낙산사(洛山寺), 울진의 망양정(望…
대표이미지
[홍성재 탈모 칼럼] [미래의 탈모 치료 ③] 유도만능줄기세포가 모…
(문화경제 = 홍성재 의학박사) 줄기세포란 모든 조직의 세포로 전환할 수 있는 만능 세포를 말한다. 줄기세포를 추출하여 손상되거나 노화로 기능이 떨어진 장기에 주입하면 건강한 조직으로 만들어진다.따라서 줄기세포는 인간의 최대 염원인 건강한 장수 및 난치성 질환 치료에 대한 미래의 희망이자…
대표이미지
[이문정 평론가의 더 갤러리 (83) 민재영 작가] 공간에서 만나면서 겹…
(문화경제 = 이문정 미술평론가, 연구소 리포에틱 대표) 동양화적 필치를 바탕으로 현대 한국인의 만남을 그리는 민재영 작가와의 일문일답이다.- 얼마 전 열렸던 성곡미술관에서의 전시 생활의 발견(2021)에 대해 일상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담아내는 동시에 전통의 계승이 가능한 동양화를 보여주려…
대표이미지
[문화] 현실이자 환상인 금강산을 수묵과 금분으로
(문화경제 = 이상면 편집위원) 최근 수 년간 독특한 금강산도를 제시하고 있는 작가 임진성의 초대전 夢 2022가 1월 6일부터 2월 3일까지 한 달 동안 서울 서초동 법원 인근의 나우리아트센터 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여기서 작가는 15년 이상 탐구하며 그려온 부유하는 몽유금강 연작들을 집중적으…
대표이미지
[이문정 평론가의 더 갤러리 (82) 작가 홍경택] “자연조차 사물화된…
(문화경제 = 이문정 미술평론가, 연구소 리포에틱 대표) 더 갤러리 이번 회는 양가적 존재인 인간과 그런 인간이 살아가는 복잡다단한 세상, 그리고 그에 대한 탐구를 담아내는 작가 홍경택과의 인터뷰를 싣는다.- 홍경택의 작업을 볼 때마다 바니타스 정물화가 떠오른다. 소재(이미지)뿐 아니라 정물(…
대표이미지
[데스크 칼럼] 언론이 야당의 ‘근자감’만 키울 때 벌어지는 일들
(문화경제 = 최영태 이사) 요즘 대선판을 보자면 언론들의 그릇된 활약상이 참으로 대단하다고 감탄하게 된다. 보수 야당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는 감싸기 급급하고, 집권 여당이 하는 일에 대해서는 사사건건 문제화시키기에 급급한 모습에서다.언론이란, 뉴스메이커(뉴스를 만드는 자, 활약자)가…
대표이미지
[겸재 그림길 (92) 망양정] 겸재 망양정은 울진 망양정과 왜 다를까
(문화경제 = 이한성 옛길 답사가) 울진에는 관동팔경 명승 중 두 곳이 있다. 망양정(望洋亭)과 월송정(越松亭)이다. 겸재도 빠지지 않고 이 두 명승을 그림으로 남겼다. 그런데 1860년 이전 울진에는 단 하나의 관동팔경 명승이 없었다. 그러면 1860년을 전후해서 관동팔경이 변경되었던 것일까? 그렇…
대표이미지
[홍성재 탈모 칼럼] 미래의 탈모 치료 ② 유전자간섭(RNAi) 이용해 원…
(문화경제 = 홍성재 의학박사) 단백질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물질이자 생리현상과 행동을 좌우하는 호르몬을 생성하며, 몸속 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효소가 되어 조절면역대사운동 등 생명체의 모든 특성을 결정한다.단백질이 체내에서 정상적으로 만들어지면 건강하고 장수하는 길이고, 반대로 비정상…
대표이미지
[데스크 칼럼] 박근혜 사면으로 보는 후보 감별법 … 대통령이 하고픈…
(문화경제 = 최영태 이사) 박근혜 전 대통령의 전격 사면 뒤 대선 판에 그가 어떤 발언을 하고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논하는 논평들이 있으나 과연 그럴까.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그의 발언에 영향을 받을 유권자는 별로 없을 것 같기 때문이다.박 전 대통령은 이른바 최순실 게이트가 폭로되던 20…
대표이미지
[겸재 그림 길 (91) 울진 성류굴] 겸재 그림과 함께 찾으면 더욱 멋진…
(문화경제 = 이한성 옛길 답사가) 가을과 겨울 울진 여행은 강릉의 가을 바다 여행과는 달리 무언가 낯섦이 있다. 그러나 울진의 겨울 대게를 아신다면 여행길은 한결 가벼워진다. 겨울 울진에 가면 자주 듣는 이야기가 가장 많이 잡기는 울진인데, 옆 고을 산물로 세상에 유명세를 타는 것이 아쉽다는 말…


배너